OhBoy!
  • ABOUT
  • ISSUE
    • ISSUE
    • 배포 및 판매 Distribution and Sales
    • 정기구독 Subscribe
  • SHOP
    • SMART STORE
    • BUY ABROAD
    • SELECT SHOP >
      • OhBoy! Communication Center
      • OhBoy! Andaz Hotel
  • NEWS
  • GREEN BOY

You can change the world

일회용 플라스틱 컵 줄이기

10/31/2017

1 Comment

 
 
*녹색연합의 캠페인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http://www.greenkorea.org/?p=61828

잠깐의 편리함
곧바로 쓰레기통으로 버려지는 
1회용 플라스틱 용기 

​
Picture
우리나라 국민 1인당 연간 플라스틱 소비량

세계 1위 

98.2 kg

성인 남녀가 하루동안 가장 섭취하는 음료 

일주일 평균
12잔 


연간 평균
600잔 
​
전세계 해양에 떠있는 다섯개의 쓰레기섬 
매립되거나 해양에 버려지는 플라스틱 쓰레기. 바다 속 미세 플라스틱은 한 국가만의 문제가 아니다. 
(미세 플라스틱 : 직경 0.001 ~5mm의 작은 플라스틱 입자, 바다생물이 먹고 다시 인간에게 돌아오기까지 썩지 않은 채로 생태계를 떠돌아 다닌다.)

재활용 되는 일회용 플라스틱 컵 5% 
비슷해 보이는 투명 클라스틱 컵. 서로 다른 종류의 플라스틱은 재활용이 어렵다. 
플라스틱 재질만 같아도 재활용률은 늘어날수 있다. 플라스틱 일회용 컵의 소재 단일화가 필요하다.
일회용 컵 재질 단일화를 위한 서명
일회용 컵과 뚜껑은 PS, PE, PP 등 여러 종류의 플라스틱 소재로 이루어져 분리수거와 재활용이 어려운 현실입니다. 최근 여러 보도에 따르면, 대부분의 플라스틱이 일괄적으로 소각된다는 것이 드러났습니다. 플라스틱은 제대로 재활용 되지않고 쓰는 족족 결국 쓰레기가 될 뿐입니다. 실제로 매장 한 곳에서 쓰이는 일회용 컵은 연간 10만 개에 달합니다!

태워지는 플라스틱은 유독물질을 내뿜고, 땅으로 간 플라스틱은 몇 백년에 걸쳐 썩지 않습니다. 또한 바다로 흘러가는 플라스틱은 끊임없이 분해되어 미세 플라스틱이 됩니다. 미세 플라스틱은 유해물질을 흡착하며 생태계를 돌고 돌아 다시 인간에게 옵니다. 뿐만 아니라 컵을 사용하는 자체만으로도 유해물질을 흡수하게 됩니다. 2013년 여성환경연대의 조사에 따르면 플라스틱 소재인 종이컵 코팅 부분에서 인체 축적 가능성이 있는 과불화화합물(PFCs)이 검출되었습니다. 

이를 규제하기 위해 우리 정부는 일회용 컵에 50~100원 사이의 보증금을 부과해, 반납시 이 금액을 돌려주는 ‘일회용 컵 보증금 제도’를 실시한 바 있습니다. 2003년부터 2008년까지 매년 일회용 컵 환불율은 상승하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2008년 이명박 정부가 기업 규제 자율화 정책의 일환으로 제도를 폐지하였습니다. ‘자발적 협약’을 통해 각 기업과 매장마다 자율적으로 일회용 컵을 관리하도록 하였지만 그 결과는 참담합니다. 폐지 이후 매년 일회용 컵 사용량은 증가하고, 회수율은 감소하는 실정입니다. 고작 100원~300원에 불과한 텀블러 할인을 위해 불편을 감수하는 사람은 소수에 불과합니다! ㅜ_ㅜ

한편 주류와 일부 음료가 담기는 유리병에 대해 지속적으로 시행 되어 온 ‘빈용기보증금제도’는 전체 출고량의 95%를 회수하고, 85%를 재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유리병보다 오염 물질을 더 많이 배출하는 플라스틱 일회용 컵에 대해서는 보증금 제도조차 폐지된 채 방관하고 있는 상황이라뇨. 2016년 국정감사에서 이 문제가 제기된 바 있으나 환경부는 묵묵부답입니다.

프랑스는 2020년까지 바이오 소재가 아닌 플라스틱 일회용 컵의 사용을 전면 금지한다고 밝혔습니다. 해가 갈수록 더 많은 일회용 컵을 소비하고 있는 우리는, 당장 보증금 제도를 부활시켜 소비량을 감소하는 노력부터 출발해야 하지 않을까요? 그리고 일회용 컵 재질을 단일화하여 더 많은 재활용을 해야하지 않을까요? 플라스틱 세상에서 벗어나려는 노력에 함께 해주세요! 

본 청원운동은 녹색연합과 여성환경연대가 함께 합니다. 
1 Comment
김근아
3/8/2018 07:06:22 am

그많은 일회용컵들이 재활용되지 않고 버려진 다는 게 충격이네요. 우리도 프랑스처럼 전면 금지까지 갔으면 좋겠습니다.

Reply



Leave a Reply.

    Green Voice

    환경과 동물복지에 관한 이야기, 환경이나 동물을 위한 시만단체에서 제공하는 정보를 공유합니다.

    Categories

    All
    Animal
    Environment

    RSS Feed

오보이!소개
오보이!매거진
과월호 보기
판매 및 배포처

정기구독 신청
오보이!편집샵
오보이! 커뮤니케이션센터
오보이! 퀸마마마켓점
오보이!뉴스
CONTACT US
본사 : 서울시 마포구 상수동 325-1  
Tel. 02.324.9661  Fax. 02.3141.9661
퀸마마마켓점 : 서울시 강남구 신사동 압구정로46길 50
Tel. 070.4281.3370

Mail. ​ohboycenter@gmail.com ​
​​사업자등록번호 : 120-01-54812 
광고문의 / 협업전시 문의
ohboycommunication@gmail.com
​사업자등록번호 : 120-01-54812
정기구독 문의
ohboysubscribe@gmail.com
Picture
  • ABOUT
  • ISSUE
    • ISSUE
    • 배포 및 판매 Distribution and Sales
    • 정기구독 Subscribe
  • SHOP
    • SMART STORE
    • BUY ABROAD
    • SELECT SHOP >
      • OhBoy! Communication Center
      • OhBoy! Andaz Hotel
  • NEWS
  • GREEN BOY